교과목소개
◈ 전기전자기초실습 (Basic Experiment of Electric)
옴 및 키르히호프의 법칙, 저항 직․병렬회로, 중첩 및 테브난정리, 직렬 및 병렬 RLC 회로 실습 등을 학습하고, 수동회로를 해석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RLC 직·병렬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.
◈ 반도체개론(Introduction of Semiconductor)
반도체 산업의 기본요소가 되는 반도체 재료와 공정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과 각 공정에 사용되는 반도체 공정장비에 대하여 학습한다.
◈ CAD기초 (Basic of Computer Aided Design)
제도의 기초이론과 도면이해를 기본으로 명령어 중심의 2차원 CAD의 기본지식 및 명령어를 익히고 다양한 도면 및 전기설비설계의 기본도면 작성을 통해 전기설비설계 및 조명설비설계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.
◈ 디지털공학 (Digital Engineering)
디지털 시스템, 기본 게이트회로, 기본 논리함수, 수의 체계, 조합회로, 순차회로, 플립플롭 응용회로, 동기 순차회로를 습득하여 기초적인 디지털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.
◈ CAD응용 (Computer Aided Design Applications)
2차원 CAD의 기본명령어 사용능력을 기본으로 2D-CAD의 작성, 배치, 출력능력을 향상시키고 기본적인 3차원 CAD기술을 습득하여 2D 및 3D의 다양한 도면 및 응용도면 작성을 통해 전기설비설계 도면을 작성 할 수 있다.
◈ 마이크로컨트롤러 기초 (Introduction to Microcontroller)
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본 개념을 익힌다. 이를 활용하여 아날로그입출력, 디지털입출력, 타이머/카운터, 인터럽트, 직렬통신 등에 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통합 능력을 배양한다.
◈ PLC기초 (Basic PLC)
PLC의 개요, 시퀀스와 PLC 비교, PLC 하드웨어인 입력부와 출력부의 배선, PLC 래더프로그래밍, 명령어를 익혀서 PLC 실습을 교육하여 기초적인 PLC 활용능력을 배양한다.
◈ 전력전자기초 (Basic Power Electronics)
전력, 전자,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전력용 스윗칭 반도체소자로 구성된 전력변환기의 설계와 응용을 다루어 정류기, 위상제어 정류기, 컨버터의 원리를 교육하여 변환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
◈ 마이크로컨트롤러 응용 (Applied Microcontroller)
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응용 능력을 익힌다. 이를 활용하여 아날로그입출력, 디지털입출력, 타이머/카운터, 인터럽트, 직렬통신 등에 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통합 응용능력을 배양한다.
◈ PLC응용 (PLC Applications)
시퀀스 제어의 출력인 램프, 전동기, 리니어모터, 밸브의 제어를 위하여 PLC 래더프로그램을 작성하고 PLC 하드웨어인 입력부와 출력부를 배선하여 PLC 실습을 통하여 실무적인 PLC 활용능력을 배양한다.
◈ 전력전자응용 (Power Electronics Applications)
전력, 전자,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전력용 스윗칭 반도체소자로 구성된 전력변환기의 설계와 응용을 다루어 공진형 컨버터와 인버터의 원리를 교육하여 관련 변환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
◈ 전기자기 (Electromagnetics)
전기와 자기의 기초 지식과 진공 중의 정전계 및 도체계, 유전체, 진공 중의 정자계, 자기 전자장의 이론 및 계산법 학습을 통하여 전기자기 설비를 설명 할 수 있다
◈ 전력공학 (Power Engineering)
전력계통의 구성과 특징, 송전방식, 선로정수, 접지방식, 3상 단락전류의 계산, 발전기의 고장계산, 안정도, 보호계전시스템, 배전선로 등의 개념을 학습하고, 송전계통도, 계통의 고장을 해석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원선도를 설계하여 전력계산을 하고, 배전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◈ 회로이론응용 (Circuit Theory Applications)
직류회로, 교류회로, 회로망정리, 복소수, 페이저, 교류회로 해석법, 회로망정리 응용, 공진회로 등의 개념들을 학습하고, 수동소자로 구성된 교류 전기회로를 해석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복잡한 전기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.
◈ 전기기기응용 (Electric Machine Applications)
직류발전기, 동기기, 변압기, 유도전동기 등의 개념을 학습하고, 발전기의 특성과 각종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석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직류발전기, 동기기, 변압기, 유도전동기를 설명할 수 있다.
◈ 프로그래밍실습 (Experiment of Programming)
4차 산업혁명의 기본이 되는 부분으로 C-언어의 개요, 명령어, 프로그램 구조, 기본 예제, 응용 예제를 익혀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C-언어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.
◈ 시퀀스실습 (Experiment of Sequence)
전기부품의 기초 지식을 이용하여 릴레이, 타이머, 램프, 전동기, 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시퀀스회로를 해석할 수 있으며,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동기 제어를 포함한 시퀀스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.
◈ 전기설비설계 (Electric Facility Design)
전기설비설계란 설계도서류작성, 설계개요서, 설계도면, 기술계산서, 설계시방서, 산출서, 원가계산서, 에너지사용계획서 등을 작성하는 능력을 익힌다.
◈ 컴퓨터실무응용(Computer Practice Applications)
첨단 산업화에 따른 컴퓨터 그래픽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다 실무적으로 교육하는데 목적을 두고 컴퓨터 그래픽에 대한 이해와 이미지 편집방법 및 그 활용 방안을 익힌다.
◈ 회로설계응용 (Circuit Design Applications)
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회로 설계로 스위치모드 전원정치(SMPS)의 설계 및 사고 정전시 자가발전설비, 축전지설비, 무정전전원설비, 에너지저장장치 등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.
◈ 조명설비설계(Lighting plant design)
조명설비 설계란 주어진 장소의 사용목적에 가장 알맞은 광환경과 시각작업에 적합하도록 조명요건을 분석하여 광원의 선정, 조명방식의 선정, 조도를 계산하여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. 조명요건 분석하기, 조명방식 선정하기, 광원선정하기, 조도계산하기를 할 수 있다.
◈ 디자인 프로젝트(캡스톤디자인) (Design Project(Capstone Design))
각 조별로 결정된 테마를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전공과정의 학습을 통해 습득한 모든 이론적 지식 및 설계능력을 토대로 담당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연구하고, 전개함으로써 작품으로 완성하며 이를 전시, 발표하는 능력을 배양한다.
◈ 현장실습 (Practical Training)
강의실에서의 이론과 실기를 산업현장에 적용시킴으로서 기술인으로서의 자질 함양은 물론 현장 기술 습득의 기회를 마련한다.